KIOST, 8월 8일 ‘해양쓰레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론회’ 부산서 개최

 
 

최근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는 가운데 해양쓰레기의 관리와 재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부산에서 마련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8월 8일 KIOST 부산 본원에서 ‘해양쓰레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국회 윤준호 의원실이 주최하고 KIOST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가 공동주관했으며, 해양수산부 송명달 해양환경정책관과 부산광역시 유재수 경제부시장을 비롯해 국내 해양쓰레기 분야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오염실태와 문제점(KIOST 심원준 책임연구원)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국제사회 움직임과 우리나라의 대응(KMI 김경신 부연구위원)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재활용 기술 개발(KIOST 김민욱 선임연구원)에 대한 전문가 발제가 진행됐으며, 이어 순천향대학교 신현웅 교수를 좌장으로 하여 한국해양대학교 김상구 교수, 해양환경공단 김성길 해양수질팀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정규 선임연구위원, 부산광역시 박종규 해양수도정책과장,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오션해양쓰레기 연구소 이종명 소장, 해양기술 ENG 이진환 대표이사, 해양수산부 해양보전과 홍근형 서기관이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서는 해양쓰레기를 수거하여 세척, 건조 및 2차 가공을 하는 전처리 기술 개발부터 기존의 보강재보다 높은 강도와 능력을 가진 섬유보강 시멘트 등의 고부가 제품으로 재활용하는 기술이 논의됐으며, 해양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원천 기술 개발이 강조됐다.

KIOST 김웅서 원장은 “KIOST는 해양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위해성 규명을 목표로 2012년부터 연구를 진행 중이고, 최근에는 바다에서 발생한 플라스틱 쓰레기의 재활용 연구까지 수행하며 최고의 연구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이번 토론회가 우리나라 해양 보전과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한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날 부대행사로는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오션에서 제공한 김정아 예술감독과 이종호 산양초등학교 곤리분교장 교사와 학생들의 ‘해양쓰레기 예술 작품’ 사진이 전시돼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미세플라스틱’으로 해양쓰레기 패러다임 전환

이날 KIOST 심원준 책임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는 인위적으로 제작 또는 가공되어 해양환경으로 유입된 고형의 합성수지를 가리킨다. 2012년 기준 우리나라 해양쓰레기는 연간 9만 1,195톤이 발생하고 있으며 바다에는 해양쓰레기 15만 2,241톤이 현존하고 있다.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에 의한 환경·경제적 피해로는 △생물·생태계 영향 △심미적 및 관광 영향 △수산업 영향 △선박안전 등이 있다.

특히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 MP)으로 최근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오염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제조되었거나 또는 기존 제품이 조각나 미세화된 크기 5mm 이하인 고형의 합성 고분자화합물로서,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 및 위해성은 대부분의 국민들이 70-80% 수준으로 인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미세플라스틱과 관련한 국가 연구개발 및 연구용역 사업의 한계를 지닌다. 미세플라스틱의 ‘공장’인 중대형 플라스틱 쓰레기 관련 연구사업이 부재하며,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관련 범부처 종합 연구개발 사업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현재 미세플라스틱 관련 다부처 사업이 기획 중이며 2019년 11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할 예정으로 있다.

또한 (초)미세플라스틱의 첨단분석기술, 플라스틱 쓰레기의 원격탐지기술 등 기초원전 연구개발 사업이 부재하다. 이에 따라 (미세)플라스틱 쓰레기 발생저감·처리를 위한 실용화 연구개발 사업이 요구된다. 실용화 및 상용화 연구분야로는 △일회용 플라스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제품 디자인 △플라스틱 대체 친환경 소재 및 포장재 개발 △미세섬유 발생을 최소화하는 섬유 개발 △세탁기 배출수 중 미세섬유 제거기술 및 장치 개발 등이 있다.

KMI 김경신 부연구위원의 발표에 따르면, 해양쓰레기를 포함한 해양 플라스틱은 지구 온난화 문제와 함께 전 지구적 환경이슈가 되고 있다. 국가의 관할 해역관리에서 지역해 관리를 통한 지역 차원의 대응으로 전개 중이며, G7, G20 등 다자간 협력체를 통한 규범적 대응에서 제4차 UNEA 총회의 결의와 같이 전 세계 보편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제 규범체계의 개발로 발전하고 있다.

IMO의 경우 2018년 ‘IMO Action Plan to Address Marine Plastic Litter from Ships’를 의결했고, 선박으로부터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8대 분야 30개 과제를 제시했으며, 오는 2020년 제75차 회의에서 초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미국은 국내법 개정으로 아시아 지역 폐기물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일본은 생분해성 제품의 국제 표준화를 추진 중이며, 유럽은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자원순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세계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발생의 60%를 차지하는 아시아 국가와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베트남, 미얀마 등은 국제기구와 선진국의 주요 지원 대상국으로 우리나라 신남방 정책의 거점 국가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도 육상 폐기물과 해양쓰레기 관리 분야의 인도적 지원 및 산업계 해외 진출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해양쓰레기 전처리 기술 개발 시급

KIOST 김민욱 선임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2019년 7월 21일 태풍 다나스의 영향으로 해양쓰레기가 대거 육상으로 밀려왔으며, 부산 해변가에는 최소 100톤 이상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했다. 2017년 기준 국내 해양쓰레기는 연간 18만톤이 발생됐으며, 약 9.5만톤이 수거됐다. 해양쓰레기 종류별 비율은 플라스틱류(PET병, 폐어망 등)가 55.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해양쓰레기의 연평균 수거비용은 528억원이며, 쓰레기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면 해양쓰레기 수거 및 재활용체계는 미흡한 실정으로, 대부분의 해양쓰레기는 소각처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쓰레기 관리체계 구축 및 수거 사업을 강화해야 하며, 해양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재활용을 확대해야 한다. 무엇보다 전처리 기술개발을 통한 해양쓰레기 재활용률을 높여야 한다.

해양쓰레기 전처리 기술은 해양쓰레기를 세척, 건조 및 2차 가공하여 고부가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재활용품의 품질 및 재활용률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나 국내는 해양쓰레기 전처리기술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순수 재활용을 위한 섬유보강재료 기술, 구조물 적용을 위한 기술개발 등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원천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