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부산해양 콘퍼런스’ 공동개최, 지역발전 위한 역할방안 의견 교환

 
 

부산의 대표적인 해양 클러스터 공공기관들이 ‘부산 해양 콘퍼런스(Busan Ocean Conference)’를 공동 개최해 주목된다. 부산으로 이전한 해 양클러스터 기관들이 지역해양수산발전과 부산시의 해양자치권 확보를 위해 콘퍼런스를 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월 30일 부산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이번 콘퍼런스는 부산시, 부산시의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진흥공사, 부산항만공사, 부산연구원 등 8개 해양관련 기관들이 공동주최했으며, 발제 및 토론 역시 부산에 기반을 두고 있는 각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부산은 항만과 해양을 중심으로 공공기관, 공기업, 교육기관, 연관산업 등이 집적되어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지만, 잠재력과 가치는 파편화되어 발전 동력을 찾지 못해왔다는 지적이다. 이에 이번 콘퍼런스는 해양관련 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부산 발전을 위해 의견을 교환하고 이를 정책제안으로 연결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참여 기관들은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해양자치권 확보와 해양산업 활성화를 위한 혁신성장사례를 발굴하고, 모아진 의견들은 지역 언론을 통해 여론화하여 정책제안으로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부산광역시 오거돈 시장은 “부산이 지금까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양도시를 뛰어넘지 못한 것은 ‘부산이 바다의 주인’이 되지 못한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면서 “부산은 세계 수준의 해양항만 인프라를 갖췄음에도 모든 권한이 중앙에 집중되어 있고 시정과 항정이 일원화되지 않아 항만과 도심기능이 상충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부산이 바다를 실질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해양자치권을 확보해야 동북아 해양수도도, 해양산업 발전도, 지역경제 활성화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부산 영도 동삼동에는 지난 2012년 국립해양조사원을 시작으로 2017년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이전을 마무리하면서 해양 클러스터 구축이 완료됐다. 현재 한국해양수산연수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국립해양박물관, 항만소방서, 부산해사고, 부산해양경찰서, 중앙해양특수구조단,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해양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해양환경교육원 등 13개의 해양수산관련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이 밀집해 있다.

시민 체감형 해양수도 정책 수립해야
이번 행사는 크게 기조연설과 주최기관 토크 및 세션별 토론으로 진행됐다. 기조연설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양창호 원장이 ‘부산, 해양수도 정책과제’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김웅서 원장이 ‘해양과학기술’을 강연했다.

KMI 양 원장은 기조연설에서 부산시의 해양수도 정책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양 원장은 “세계적인 항만, 해양금융허브, 해양클러스터 구축도 좋지만, 부산시민들은 ‘해양수도’라는 정책으로부터 실제적인 일자리나 소득, 그리고 시민생활 향상을 체감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면서 “항만과 수산, 해양관광 등의 일자리를 만드는데 필요한 여건을 만들고 해양수산이 시민들 생활개선에 체감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항만 일자리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의 항만정책 공조가 필요하며, 특히 항만배후단지 내 부가가치 활동 활성화를 위해 입주기업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해양관광 허브도시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부산항 크루즈 모항기지화, 부산 유람선 관광상품 다변화, 해양레저도시 브랜드 강화, 부울경 해양관광 공동개발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부산의 해양자치권 확보, 국토발전 돌파구”
이어 ‘부산발전을 위한 해양클러스터 기관의 역할’을 주제로 주최기관의 토크가 진행됐다. 부산광역시 유재수 경제부시장, 부산광역시의회 남언욱 해양교통위원장, KMI 양창호 원장, KIOST 김웅서 원장, 한국해양진흥공사 황호선 사장, 부산항만공사 남기찬 사장, 부산연구원 이정호 원장, 국제신문 박무성 사장 등 각 기관 대표자들이 해양을 중심으로 한 부산의 발전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했다.

오후에 진행된 첫 세션에서는 한국해양대 정영석 교수가 ‘부산의 해양자치권 확보’를 주제로 발표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부산은 해양산업관련 업체가 2만 6,408개, 매출액 37조원, 종사자 15만명, 세계 6위 컨테이너항만, 세계 2위 환적항만, 전국 최대의 수산물거래시장이다.

정 교수는 “이는 누가 보더라도 부산이 해양수도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는 객관적 수치이나 지난 20여년간 ‘해양수도 부산’이 정치 슬로건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을 보면, 누구도 부산을 해양수도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산의 바다에 대하여 부산이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면서 “해양수도 부산은 수도권과 대칭되어 지방이 중심이 될 수 있는 국토의 새로운 축으로서 발전시킬 수 있는 유일한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이미 대부분의 선진해양국이 실시하고 있는 항만관리권의 지방자치단체 귀속과 해양행정사무와 재정의 지방이양을 더 이상 미룰 이유는 없어 보인다”고 강조했다. 주제발표 후 토론에는 동의대학교 조삼현 무역유통학부 교수, 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 박인호 대표, 부산상공회의소 이갑준 상근부회장, 부산광역시 박종규 해양수도정책과장, 국제신문 장재건 논설실장이 참여했다.

두 번째 세션은 ‘해양산업 발전방안’을 주제로 하여 △스마트 해양물류 추진방향(부산항만연수원 장하용 교수) △해양금융 활성화를 위한 제언(한국해양진흥공사 조규열 본부장)에 대한 발제가 이뤄졌다. 토론에는 한국해양대학교 이기환 교수, KMI 이성우 항만물류연구본부장, 부산은행 손강 IB 사업본부장, 부산항만공사 김병수 첨단 항만실장, 부산연구원 허윤수 연구위원이 참여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과학기술 기반과 해양산업의 미래(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박세헌 책임연구원) △수산허브도시를 통한 수산업의 세계화(부경대학교 장영수 교수)의 발제가 진행됐으며, 수산전문가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